해외 로컬 마켓 투어 후 발견한 식문화 차이와 비즈니스 가능성

인도네시아 발리 로컬 마켓에서 본 전통 요리 재료와 관광 상품화(발리 마켓)

슬기로운 랑포유 2025. 8. 16. 13:00

저는 최근, 업무상 인도네시아 발리 방문 중 우붓(Ubud)에 위치한 우붓 전통 시장(Ubud Traditional Market)을 방문했습니다.
이 시장은 현지 주민들의 생활 터전이자, 전 세계 관광객이 발리 전통 식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중심지입니다.


다채로운 향신료, 신선한 채소, 해산물, 공예품이 한데 모여 있었고, 특히 발리 전통 요리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저는 이곳에서 단순히 시장 구경에 그치지 않고, 전통 요리 재료가 어떻게 관광 상품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시장의 모습

1. 발리 전통 요리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와 가격

 

현장에서 직접 조사한 인기 재료 5종의 평균 가격, 판매 단위, 관광 상품화 사례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재료 현지 평균 가격(IDR) 단위 원화 환산(원) 관광 상품화 제품 관광 상품 가격(원)
발리 커피 원두 120,000 500g 약 10,800 원두 기념팩(포장+설명서) 25,000
캔들넛(Candlenut) 40,000 250g 약 3,600 발리 전통 향신료 세트 15,000
레몬그라스 15,000 200g 약 1,350 허브 티 세트 12,000
갈랑갈(Galangal) 20,000 250g 약 1,800 향신료 블렌드 파우더 14,000
코코넛 슈가 30,000 500g 약 2,700 코코넛 설탕 선물 세트 18,000
 

관찰 포인트: 원물 자체는 저렴하지만, 기념품 패키지로 가공·포장하면 3~7배 이상의 가격으로 판매됩니다.

 

2. 관광 상품화 전략

 

2-1. 패키징과 스토리텔링

  • 발리 전통 요리 레시피와 재료의 효능을 함께 담은 패키지
  • 관광객이 ‘발리에서만 살 수 있는 특별한 선물’이라고 느끼도록 제작

2-2. 셰프 쿠킹 클래스 연계

  • 시장에서 재료를 직접 구매하고, 현지 셰프와 함께 전통 요리를 만드는 체험 패키지 운영
  • 참가비: 1인당 350,000~500,000 IDR (약 31,500~ 45,000원)

2-3. 소용량·경량 포장

  • 항공 여행객을 위해 100g~200g 소포장 제품 출시
  •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해 구매 장벽을 낮춤

2-4. 다국어 레이블과 QR코드 정보 제공

  • 영어·한국어·일본어 안내 포함
  • QR코드로 재배지·요리법·영상 연결

 

3. 발리 로컬 마켓 vs 한국 전통시장 비교

 

항목 발리 로컬 마켓 한국 전통 시장
관광객 비중 전체 방문객의 40~50% 10% 미만
상품 구성 원물 + 가공품 + 체험 결합 원물 위주
포장 디자인 기념품형·컬러풀 실속형·단순
마케팅 방식 스토리텔링·체험형 행사·할인 중심
가격 정책 관광객 대상 프리미엄 저가 경쟁 중심
 

분석: 발리는 시장을 ‘관광 콘텐츠’로 적극 활용하는 반면, 한국은 아직 지역 주민 중심의 판매 구조가 강합니다.

 

4. 국내 적용 아이디어


4-1. 지역 특산 재료 기념품화

  • 제주 감귤가루, 전남 매실청, 강원 더덕분말 등 소포장+레시피 카드 결합
  • 관광객 대상 프리미엄 가격 전략 가능

4-2. 전통 요리 쿠킹 클래스 운영

  • 전통시장·관광지에서 재료 구매 → 요리 체험 → 완성품 포장까지 패키지 구성
  • 외국인 관광객 대상 SNS 홍보

4-3. 다국어 안내·스토리 마케팅

  • 재료의 역사, 효능, 사용법을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제작
  • 패키지·유튜브·인스타그램 연계

 

5. 제가 경험한 현장 사례

 

저는 발리 커피 원두 500g을 120,000 IDR(약 10,800원)에 구입했는데, 기념품 패키지 버전은 25,000원에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또한 쿠킹 클래스에 참여해 레몬그라스와 갈랑갈을 사용한 발리 전통 ‘아얌 베토투(Ayam Betutu)’ 요리를 만들었는데, 재료의 신선함과 향이 그대로 요리에 살아 있었습니다.
이 체험 후 저는 관련 재료 세트를 구매했고, 집에서도 발리 음식을 재현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원물 + 체험 + 스토리’가 결합하면 관광객이 더 큰 금액을 기꺼이 지불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결론

 

인도네시아 발리 로컬 마켓은 저렴한 전통 재료를 고부가가치 관광 상품으로 변환하는 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패키징, 체험형 프로그램, 다국어 안내, 스토리텔링이 핵심 전략이었으며, 이는 한국의 지역 재료 산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저는 발리 시장에서 ‘재료를 파는 것’이 아니라 ‘문화 경험을 판다’는 개념을 배웠습니다.